구윤철 "대미투자, 글로벌 밸류체인 선도 기회로 만들 것"
2025-11-26 류동호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관세협상에 따른 대미투자를 글로벌 밸류체인을 적극적으로 선도하고 우리가 세계를 주도하는 전략적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성장전략TF를 주재하고, 모두발언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구 부총리는 "우리 경제는 향후 수십년간의 성장궤도를 결정할 '전환점'에 있다"며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첨단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려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앞서 나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정부는 대한민국이 초혁신경제의 '글로벌 발상지'가 되도록 모든 역량과 지원을 집중하겠다"며 "AI와 초혁신경제 선도프로젝트가 반드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대규모 재정투자와 과감한 규제개선으로 뒷받침하겠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자율주행차 산업경쟁력 제고 방안 ▲초혁신경제 선도프로젝트 추진계획 ▲벤처 4대강국 도약 종합대책 등 3개 안건을 논의했다.
구 부총리는 "자율주행차를 국민이 체감하는 피지컬 AI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겠다"며 "2027년까지 완전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고 글로벌 3대 자율주행차 강국으로 발돋움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국산 자율주행 AI가 단기간에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내년부터 도시 전역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실증도시'를 조성하기로 했다. 100대 이상의 자율주행차를 투입해 대규모의 자율주행 데이터를 빠르게 축적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또 연구개발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명처리하지 않은 원본 영상데이터 활용을 허용하는 등 규제도 완화하기로 했다. 자율주행차 전용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확보해 지원하고 기업과 대학, 연구소가 활용할 수 있는 AI 학습센터도 설립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초혁신경제' 선도프로젝트 추진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차세대 태양광, 차세대 전력망, 그린수소 등 에너지 분야 3개 프로젝트, 6개 과제의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구 부총리는 "차세대 태양광은 고효율 탠덤셀 모듈을 2028년 상용화하고 해상풍력은 20㎹급 초대형 터빈을 5년내에 양산하겠다"며 "그린수소는 고효율 기술개발과 대규모 생산 실증(100㎹급)을 통해생산 단가를 절반 이하로 낮추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형 소형모듈원자로(SMR)가 글로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표준설계인가를 획득하고 원전펀드를 집중 투자하겠다"며 "AI를 기반으로 전력 생산과 소비량을 정확히 예측해 필요한 곳에 전력을 공급하는 차세대 전력망을 도입하겠다"고 했다.
이와 함께 구 부총리는 "혁신적 아이디어와 첨단기술로 무장한 K-빅테크를 육성하기 위해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