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산불 피해주민 긴급생계비 300만원 지원...농업·어업 피해 보전 대책 마련
영남권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주민들에게 긴급생계비 300만원이 우선 지원되고, 농업 피해 보전을 위한 현실적인 대책이 마련된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4차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재민 주거안정대책, 피해 근로자·중소기업 지원, 해양수산 분야 피해 지원방안 및 산불피해·대피지원 외국인 지원방안 등 세부적인 조치상황이 논의됐다. 정부는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를 중심으로 15일까지 중앙 재난피해 합동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4월 말까지 장기적이고 항구적인 복구계획을 확정할 방침이다.
고 본부장은 "이번 산불로 인해 농업 피해가 컸는데, 주요 농작물 복구단가 현실화, 농기계 지원 기종 확대 등 농작물, 농업시설, 농기계에 대해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피해 어업인들에게는 재해복구비 신속 지원과 함께 경영 자금도 긴급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 영세 사업장에 대해서는 정책금융을 활용한 경영 안정화 지원과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도 병행할 계획이다. 전날 오후 5시까지 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모인 국민성금은 총 925억1000만원에 이르렀다.
산불 피해 이재민들의 주거 문제와 관련해서는 "향후 이재민을 위한 영구주택은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주택사업까지 연계해 추진하겠다"며 "피해지역의 특성까지 반영한 공동체로 회복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재정 지원 내용까지 포함한 특별대책을 수립하겠다"고 설명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5일 오전 6시 기준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는 82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 중 사망자는 31명이며, 부상자는 전날보다 중상 1명, 경상 5명이 늘어 각각 9명, 42명으로 늘었다. 이들은 인명피해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가 피해 조사 과정에서 추가 확인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설 피해는 오전 6시 기준 7659곳으로, 전날 오후(7544곳)보다 115곳 증가했다. 대피 중인 주민들은 1972세대 3274명이다. 정부는 이재민에게 응급구호세트, 모포, 쉘터, 생필품·식음료 등 98만4000여점을 지급하고 7944건의 심리지원을 실시했다.
산림청은 산불 피해지역의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울산 울주군에 '산불피해지 긴급진단팀'을 파견해 우려지역을 점검했다. 위험도 평가에 따라 응급복구가 필요한 지역은 6월까지 복구를 완료하고, 항구복구도 순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개정해, 임도의 타당성 평가항목에 '재해 안전성'과 '효율성'을 추가했다.
고 본부장은 "오늘은 절기상 '불을 사용하지 않는 날'이라는 한식이자, 황폐한 산림을 복구하기 위한 제80회 식목일"이라며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하면서도 "4월 말까지는 산불 예방에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