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방원 ETF 담은 '퇴직연금 고수들'…평균 9배 벌었다
2025-11-26 류동호
금융감독원이 퇴직연금 고수들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공개했다. 이들의 최근 1년 수익률은 38.8%로, 가입자 평균의 9배에 달한다. 특히 '조방원(조선·방산·원자력)' 등 국내 테마형 상장지수펀드(ETF)에 집중 투자해 높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26일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DC형 퇴직연금 적립금 잔고가 1000만원 이상인 가입자 중 상위 1500명의 최근 1년 수익률은 38.8%로 집계됐다. 이는 가입자 평균(4.2%)을 9배 넘게 웃도는 수준이다. 최근 3년 수익률은 연 16.1%로 가입자 평균(연 4.6%) 보다 3.5배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 고수들의 최근 1년 수익률이 50.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50대가 49.6%, 30대가 44.7%로 뒤를 이었다. 60대와 30대 미만은 각각 24.9%, 13.5%로 확인됐다.
권역별로 보면 증권사 가입자들이 최근 3년간 평균 18.9%를 벌어들이며 수익률이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은행과 보험 권역 상위 가입자들의 수익률은 각각 15.1%, 13.1%로 집계됐다.
연금 고수들은 공통적으로 '공격적인 실적배당형 투자' 형태를 보였다. ETF 등 펀드, 채권 같은 실적배당형 상품 비중이 79.5%에 달했다. 대기성 자금도 8.6%를 유지하며, 시장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여유 자금을 확보했다.
구체적으로 펀드 중에서는 주식형이 70.1%, 혼합채권형이 9.0%를 차지했다. 이는 퇴직급여법상 위험자산 투자 한도(70%)를 준수하면서 주식 비중을 최대한으로 높인 전략으로 풀이된다.
또 국내 펀드(61.6%) 투자금액이 해외 펀드(31.8%) 보다 2배가량 많았다.
개별 투자처를 보면 조선·방산·원자력 등 이른바 '조방원' 테마 ETF가 적립금 상위 1~3위를 차지했다. 투자자 수 기준으로도 관련 ETF가 상위를 휩쓸었다. 해외 투자는 미국 빅테크 중심으로 이뤄졌다.
ETF 선호 경향도 뚜렷했다. 일반 가입자들이 장기투자시 선호하는 TDF(타깃데이트펀드)는 상위 가입자 비중에서 낮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대 미만은 나스닥·S&P500 등 미국 지수형 ETF 중심으로 투자했으나, 30대 이상은 조방원 등 국내 테마형 ETF나 테슬라 등 우량기업 관련 펀드로 보다 적극적인 운용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관찰됐다. 60대 이상은 고배당 펀드나 중국 펀드 비중을 늘려나가는 등 균형 잡힌 투자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