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4.07. / 사진 = 뉴시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4.07. / 사진 =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본격적인 대선 후보 경선 준비에 돌입한 가운데, 경선 규칙을 둘러싼 치열한 줄다리기가 시작됐다. 특히 비이재명(비명)계 주자들이 소위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 구도를 타파하기 위해 범진보 진영 통합 완전개방형 오픈 프라이머리를 강력히 요구하며 경선 판도에 변화를 꾀하고 있다.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에서 "제7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며 조기 대선 확정 후 민주당 내 첫 공식 출마를 선언했다. 그는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을 핵심 의제로 제시하며 "임기를 2년 단축해야 한다면 기쁘게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이는 개헌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이재명 대표를 견제하는 포석으로 해석된다.

김 전 의원은 특히 경선 방식과 관련해 "'어대명' 경선으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며 "결과가 예정된 선거는 민주주의가 아닌 정치 후진국에서나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비명계 잠재적 주자들도 100% 국민 투표로 범진보 진영 공동 후보를 선출하는 완전개방형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에 공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공식 선언 기자회견을 마치고 지지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07. / 사진 = 뉴시스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공식 선언 기자회견을 마치고 지지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4.07. / 사진 = 뉴시스

조국혁신당도 이 같은 움직임에 힘을 보태고 있다. 김선민 조국혁신당 대표 권한대행은 "민주당 대선 후보를 민주당 담장 안에 가두지 말라"며 범진보 통합 경선을 제안했다.

반면 민주당은 '권리당원 투표 50%+여론조사 50%'의 '국민참여경선'과 대의원·권리당원 및 일반 국민에게 투표권을 주는 '국민경선' 두 가지 안을 놓고 실무 준비를 진행 중이다. 이번 주 중 당규 정비와 선거관리위원회 구성을 마친 후, 본격적인 경선 국면에서 선거인단 구성 등을 두고 치열한 논쟁이 예상된다.

당 관계자는 "이 대표를 포함한 경선 후보들의 의견을 모두 들어야 한다"며 신중한 접근을 시사했고, 지도부 의원은 "완전개방형 오픈 프라이머리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분위기지만 '어대명' 양상에 '경선 흥행'에 대한 고민은 깊다"고 내부 고민을 전했다.

다만 민주당은 범야권 공동 후보 선출에 대해서는 현실성이 없다며 사실상 일축했다. 김윤덕 사무총장은 "각 당에서 대선 후보를 정하고, 이후 단일화를 통해 정권 교체를 실현하는 과정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모두서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