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석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이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제1차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09. / 사진 = 뉴시스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이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제1차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09. / 사진 =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선출 방식을 기존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변경해 권리당원과 국민 여론조사 의견을 동등하게 반영하기로 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12일 의원총회와 당 최고위원회 의결을 거쳐 대선 후보 경선 방식으로 '권리당원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를 반영하는 '국민참여경선'을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경선에서 투표권을 갖는 '권리당원'은 12개월 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당원으로 한정했다. 일반 국민 의견을 묻는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를 통해 각 50만명씩 두 차례에 걸쳐 진행할 예정이다.

경선은 오는 19일부터 2주간 주말을 이용해 4개 권역을 순회하며 실시한 후 최종 후보를 선출하게 된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민주당 공직 후보 선출방식이 변화해 왔다"며 "치열한 논의 끝에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2012년 완전국민경선을 시작한 후 민주당 위상도 많이 변했다. 11만명이었던 권리당원이 현재는 120만명에 육박한다"며 "정당주인인 당원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 게 당원 주권을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지난 두 차례 대선 경선에서 권리당원과 일반 국민을 모두 선거인단으로 포함해 투표를 진행하는 '국민경선(국민선거인단)' 방식을 채택했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모두서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