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뉴시스

정부가 중소기업 스마트제조 역량 강화를 위한 스마트제조혁신 기술개발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현장 확산을 추진한다. 제품별 다양한 섬유 원단 불량을 인공지능(AI) 딥러닝 모델을 접목해 탐지하는 기술 개발이 대표적이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26일 오전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이같은 우수 사례 표창 수여와 함께 성과공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제조 관련 산학연 전문가 약 2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최근 제조 현장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현장의 숙련노동자가 감소하고, 글로벌 제조 강국이 AI를 비롯한 정보통신기술(ICT)를 접목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제조 역량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AI·디지털 전환이 관건이라고 보고 지난 2022년부터 스마트제조혁신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스마트제조혁신 기술개발 사업은 중소기업 제조현장 전반의 생산성 혁신과 디지털 전환을 위해 디지털트윈, 5G 등 ICT를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공정 최적화, 제조데이터 축적·활용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손지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제조융합연구실장, 김지영 온메이커스 상무가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 표창을 수상한다. 손 실장은 육안·수작업으로 진행되던 품질검사를 AI·디지털트윈을 활용해 정확도를 제고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정별 부하율, 공장 전체 생산성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제조 디지털트윈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김 상무는 폐수처리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조 현장의 이상 현상 예측·운영 최적화가 가능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아울러 제품별 다양한 섬유 원단의 정상·불랑 이미지 데이터와 AI 딥러닝 모델 접목을 통해 결함을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한 조기창 디월드 대표, 다양한 제조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생산 업무의 효율적 분배·관리·조정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서비스를 구축한 김병희 브이엠에스솔루션스 대표 등이 중기부 장관 표창을 받는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피지컬 AI가 제조 현장의 생산성을 혁신할 수 있는 핵심 해법"이라며 "과기정통부는 제조 현장의 암묵지 내재화를 위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과 물리법칙을 이해하고 현실 적용을 검증하는 월드모델 기반기술 확보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권순재 중기부 지역기업정책관은 "국내 제조현장에 AI·데이터 기반 확산을 위해 지속적인 사업을 추진해왔다"며 "앞으로도 AI 대전환 시대에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개발(R&D), 비R&D 등 구체화된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모두서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