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피해 ARS 신고 시스템 개선, 방심위 'FAST TRACK' 도입 (+ 딥페이크 신고 홈페이지 )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가 딥페이크 성범죄 영상물 피해자들을 위한 신속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2일부터 시행된 'FAST TRACK' 시스템은 피해 신고 및 상담 과정을 대폭 간소화하여 피해자들의 빠른 구제를 돕는다.

ARS 신고 '패스트 트랙(FAST TRACK)' 절차도. (사진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공) 2024.09.02. *재판매 및 DB 금지 / 사진 = 뉴시스
ARS 신고 '패스트 트랙(FAST TRACK)' 절차도. (사진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공) 2024.09.02. *재판매 및 DB 금지 / 사진 = 뉴시스

딥페이크 피해 신고 ARS 신고·상담 시스템 개선

방심위는 기존 1377 ARS 시스템을 개편하여 피해자들이 더욱 신속하게 상담 직원과 연결될 수 있도록 했다. 이전에는 여러 단계의 안내멘트를 거쳐야 했지만, 이제는 1377 연결 직후 3번을 누르면 곧바로 전용 신고·상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으로 상담 직원 연결 시간이 약 2분 단축되었다.

방심위는 '패스트 트랙' 도입을 통해 365일 24시간 '원스톱 올인원(One stop All-in-one) 서비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딥페이크 피해 온라인 신고 시스템 개편

방심위는 온라인 신고 창구도 함께 개선했다. 지난달 27일부터 홈페이지에 딥페이크 성범죄 영상물 신고를 위한 전용 배너를 신설했으며, '1377번 누른 후 3번' 안내 팝업을 추가로 노출하고 있다. [ → 방심위 딥페이크 신고 페이지 : https://www.kocsc.or.kr/sec/rnc/iPinCert.do?conText=%2Fmain&joinType=24&explain=true ]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들을 위해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구현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한 화면 내에서 필수 안내사항 확인부터 신고 접수까지 모든 과정을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모두서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