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선고 이틀째인 5일, 윤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은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지 않은 채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까지도 관저에 머물며 별다른 추가 메시지를 발표하지 않았다.
헌재의 파면 결정 이후 윤 전 대통령이 내놓은 유일한 입장은 변호인단을 통해 "대한민국을 위해 일할 수 있어서 영광이었다"며 "지지해 주고 응원해 주신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안타깝고 죄송하다"라는 간략한 메시지가 전부다. 많은 이들이 기대했던 헌재 결정에 대한 명확한 승복 메시지는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침묵의 배경에는 윤 전 대통령이 현재 12·3 비상계엄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형사 재판을 받고 있으며, 불소추특권을 상실한 자연인으로서 직권남용 등 혐의에 대한 수사와 기소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헌재 선고에 대한 직접적인 승복 메시지를 표명하는 데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윤 전 대통령의 이러한 태도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이강윤 정치평론가는 "기대에 부응 못해 죄송하다는 말은 지지하는 사람들한테 어떤 메시지가 될 수 있을까 하는 것까지도 고려한 것"이라며 "사과의 태도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윤 전 대통령 본인이 직접 승복과 사과의 메시지를 명백하게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는 "지금까지 제대로 된 사과나 반성의 표현이 없다"며 "승복 선언도 안 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신율 명지대 교수 역시 "어떤 의도에서 낸 입장인지는 알 수 없지만, 국민들이 이것을 해석하게 만든다는 것 자체가 문제"라면서 "헌재 판결에 승복한다는 메시지로 보기는 힘들다"고 분석했다. 나아가 그는 "지지자들한테 자꾸 메시지를 던져서 자극시키려 할 것"이라고 우려하며, "조기 대선에도 개입하려 할 수도 있겠지만 가능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